<원자력 e-뉴스레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원자력의 연구개발과 올바른 이용을 알리기 위해 매월 발간하는 종합 소식지입니다.
일본 시마네현 마쓰에시에 있는 시마네 원전 2호기가 이르면 내년 재가동될 전망이라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6월 3일 보도했다. 시마네 원전 2호기의 위치는 동해와 맞닿은 마쓰에시 북부로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냉각장치 고장으로 핵연료가 녹아내리는 노심용융(멜트다운) 사고가 났던 후쿠시마 제1원전과 같은 형태인 비등수형(BWR) 원자로이다.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가 발생하기 직전 일본 전역에서는 54기의 원자로가 가동되었으나 사고를 계기로 전면 가동이 중단된 뒤 대폭 강화된 안전 심사를 거쳐 현재 원전 10기가 운전이 재개되었다. 일본 정부는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2030년 원전 비중을 20∼22%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조선비즈(2022.06.03.)
프랑스의 원자력 발전 에너지 공급량이 부족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간 유럽 대륙을 휩쓸었던 탈원전 바람으로 인해 프랑스 원자로 설비가 낙후된 탓이다. 더욱이 러시아산 에너지에 금수 제재를 가하고 있는 유럽연합(EU)은 프랑스산 원전이 대체 에너지원이 될 것이란 기대를 걸고 있는 상황이다. 5월 3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현재 프랑스 전역의 56개 원자로 중 절반 가량의 가동이 중단됐다. 그 중 12기는 부식 문제로 인해 운영을 멈춘 상태다. FT는 "EU가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면서 대체제로서 프랑스 원자력 발전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과거 탈원전 열풍 속에서 원전 투자가 줄어들고 생산 설비도 노후화된 탓에 프랑스 원전에 의한 발전량이 충분할지는 미지수"라고 보도했다.
한국경제(2022.05.31.)
체코의 석유·가스 수입량 70% 이상은 러시아에 의존한다.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유럽연합(EU) 국가들이 원전 투자에 힘을 싣고 있다. 두코바니 마을은 체코 정부가 ‘에너지 안보’를 사수하기 위해 건설 예정인 1기 원전(1200MW 이하급)이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 한국(한수원)과 프랑스(EDF), 미국(웨스팅하우스) 3개국이 경쟁 중이다. 사업비 규모는 8조 원이며, 2024년 공급사가 확정되어 2036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한다. 체코 정부는 향후 원자력 비중을 46~58%까지 확대할 계획으로, 두코바니 등에 원전 3기 건설을 추가 검토 중이며 이번 수주를 따내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된다.
동아일보(2022.05.30.)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퇴임을 한 달 가량 앞두고 차기 정부를 상대로 원자력 발전소 가동을 검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6월 30일 취임 예정인 마르코스 대통령 당선인도 원전 가동을 적극 검토 중이다. 마르코스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5월 23일 주필리핀한국대사관 김인철 대사의 예방 이후 기자회견에서 "바탄 원전을 가동할지 새로 지어야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면서 "한국 측의 자문과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검토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바탄 원전은 그의 선친인 마르코스 전 대통령 시절인 1976년 착공후 1984년 거의 완공되었으나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가 발생하고 마르코스 독재 정권이 무너지면서 가동이 무산됐다. 이 원전은 발전용량이 620㎿(메가와트)에 달하며 건설 비용만 22억 달러가 투입됐다.
연합뉴스(2022.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