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 속 원자력
연도별로 보는 과학사 속 원자력
원자와 원자력을 연구한 과학자들을 살펴보고
과학기술과 함께 발전한 원자의 모형을 알아봅시다.

-
1789우라늄 발견
클라프로트 Martin Klaproth (1743~1817)
독일 화학자·약제사우라늄 발견 피치블렌드에서 검정색가루를 얻게 되었고, 천왕성(Uranus)의 이름을 따서 우라늄이라 부름닫기 -
1807돌턴의
원자모형 -
1895X-선 발견
뢴트겐 Wilhelm Conrad Röntgen (1845~1923)
독일 물리학자X-선 발견 음극선을 연구하던 뢴트겐은 연구 중에 미지의 방사선을 발견하여 X선이라고 이름 붙임닫기 -
1896자연방사선
발견베크렐 Antoine Henri Becquerel (1852~1908)
프랑스 물리학자자연방사선 발견 우연히 우라늄과 필름을 같은 서랍 안에 두었고, 이 때 필름에 생긴 얼룩을 보고 자연방사선의 존재를 알게됨닫기 - 1897전자 발견
-
1898방사능 명명
폴로늄, 라듐발견퀴리 Marie Curie (1867~1934)
프랑스 물리학자·화학자방사능명명닫기
폴로늄(Po), 라듐(Ra) 발견 퀴리는 피치블랜드에서 플로늄과 라듐을 발견했고 방사능이라는 단어도 이 때 처음 사용함 -
1904톰슨의
원자모형 -
1905특수 상대성
이론 발표아인슈타인 Albert Einstein (1879~1955)
미국 이론물리학자특수 상대성 이론 발표 질량은 곧 에너지라는 개념(질량-에너지 등가 원리)을 발표하고, 원자력 에너지 발전에 큰 역할을 한 E=mc² 공식을 만듦닫기 - 1911원자핵 발견
-
1911러더퍼드의
원자모형러더퍼드 Ernest Rutherford (1871~1937)
영국 실험물리학자러더퍼드의 원자모형 러더퍼드는 원자 중심에 원자핵이 있고 행성이 태양 주변을 도는 것처럼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모형을 제시함닫기 -
1913보어의
원자모형 -
1918원자핵의
인공붕괴 -
1932중성자
발견 -
1938핵분열 반응
발견한 Otto Hahn (1879~1968)
독일 화학자슈트라스만 Fritz Strassmann (1902~1980)
독일 화학자핵분열 반응 발견 한과 슈트라스만은 우라늄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함닫기 -
1942세계 최초의
원자로
시카고 파일페르미 Enrico Fermi (1901~1954)
이탈리아 물리학자세계 최초의닫기
원자로 시카고 파일 Chicago Pile No.1, CP-1 최초로 핵분열 연쇄반응을 성공함 -
1951세계 최초의
원자력
원자로 발전소
EBR-1진 Walter Zinn (1906~2000)
미국 핵물리학자세계 최초의닫기
원자력 발전소 EBR-1 Experimental Breeder Reactor No.1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 최초의 원자로이자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임 -
현대현대적 원자모형
하이젠베르크 Werner Karl Heisenberg (1901~1976)
독일 이론물리학자슈뢰딩거 Erwin Schrodinger (1887~1961)
오스트리아 이론물리학자현대적 원자모형 현대에 들어서 전자 궤도는 실제로 있는 것이 아니라 전자가 발견되는 확률만 알 수 있다고 알려졌고, 모혀으로 표현하니 구름 모양 같았음닫기
더 많은 원자력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한국원자력연구원 웹툰<열혈 연구원 나원자>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