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원전의 안전성
안전한 대한민국 원자력발전소
주요 원자력발전소 사고 발생 원인과 개선책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는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도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설계·건설되어 있습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방사선과 방사성물질이 발전소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다섯 겹의 방호벽을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1986년 체르노빌 원전은 건설 비용을 아끼기 위해 격납건물(둥근 돔 형태의 외벽, 제5방벽)을 짓지 않았고, 안전 수칙을 무시한 무리한 실험 강행으로 증기·수소 폭발의 사고가 발생하여 다량의 방사성물질이 그대로 방출되었습니다. 이때 체르노빌 원전은 흑연을 원자로 물질(감속재)로 사용했는데, 사고 중에 이 흑연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흑연화재가 열흘 동안 이어지면서 더욱 많은 양의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퍼졌습니다.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에서는 흑연이 아닌 물을 냉각재이자 감속재로 쓰기 때문에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없습니다.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역시 사전에 쓰나미를 대비하지 못했고, 격납건물 내부가 지나치게 작고 두께도 16cm에 불과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견디지 못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 격납건물의 5분의 1 정도 체적입니다.
무엇보다 후쿠시마 사고의 피해가 커진 가장 큰 이유는 발전소 전원이 끊겨 원자로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기능이 상실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극도로 뜨거워진 핵연료가 녹아내렸고, 이 과정에서 다량의 수소가 발생하여 수소 폭발로 이어졌습니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우리나라는 모든 전력이 차단되어도 장기간 냉각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이동식 발전기와 축전지를 구비하고, 비상 냉각수 외부 주입 유로를 설치했습니다. 또한, 50여 개의 항목에 대해 개선책을 마련하여 최상의 안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방사선 누출 등 사고가 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방사선비상)를 대비해 국가적으로 방사선비상 대응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방사선비상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원자력연구원 홈페이지 - 안전정보(클릭 시 바로가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원자력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한국원자력연구원 웹툰<열혈 연구원 나원자>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