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작성일
- 2024.09.27
- 조회수
- 2,855
-2012년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한 SMART의 안전성, 경제성, 활용성을 강화한 모델-
-사우디 SMART 건설 및 제3국 수출 기반 마련, 글로벌 SMR 시장 선점 기회-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 이하 원자력연),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 이하 한수원) 및 사우디아라비아 왕립 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CEO H.H. Dr. MAMDOOH AL SAUD, 이하 사우디)은 국내 최초 완전 피동형 소형모듈원전인 SMART100(System integrated Modular Advanced ReacTor 100)에 대한 표준설계인가를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로부터 26일 획득했다고 밝혔다.
【표준설계인가, SDA_Standard Design Approval】 동일한 설계의 발전용 원자로(원전)를 반복적으로 건설하고자 할 경우 인허가 기관이 원자로 및 관계 시설의 표준설계에 대해 종합적인 안전성을 심사해서 인허가를 주는 제도 |
사진1. SMART100 플랜트 조감도
□ 2012년 세계 최초로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한 소형모듈원전(SMR)인 SMART에서 원자로 출력 및 안전성 등을 향상시킨 SMART100은 이번 표준설계인가 획득과 검증된 기술을 바탕으로 바로 건설 가능한(Ready for Market) 차세대 수출형 원자로이다.
ㅇ 기존 SMART에 대한 안전성 향상 연구(‘12~‘16)와 한-사우디 공동 건설전설계사업(Pre-project Engineering, PPE, ‘15~‘18)을 거치면서 출력증대(열출력 330MW→365MW, 전기출력 100MW→110MW), 완전 피동안전계통* 도입, 지진 자동정지설비 설치 등 후쿠시마 후속조치를 반영한 보완설계를 통해 SMART100을 개발했다.
* 피동안전계통은 사고 시 노심 및 격납건물 냉각을 위해 전기공급 없이 중력, 유체의 밀도차와 같은 자연적인 힘과 비축된 에너지를 활용해 안전조치를 할 수 있는 계통
사진2. SMART100 원자로 형상
□ SMART100은 가압경수형 원자로에 대한 입증된 기술을 바탕으로 일체형 원자로 기술과 피동안전개념 등 혁신기술을 적용해 안전성 향상, 경제성 확보 및 활용성 극대화를 추구했다.
ㅇ 증기발생기, 원자로냉각재펌프 등 주요기기를 하나의 용기에 설치해 대형배관 파단사고 위험성을 제거했으며, 사고 상황에서 비상발전기나 운전원 조치 없이도 안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ㅇ 또한, 일체형 원자로로 계통설계를 단순화, 표준화하고 출력을 더욱 높여 경제성을 향상시켰으며, 전력생산 외에 해수담수화, 지역난방, 공정열공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이번 표준설계인가 획득으로 사우디 내에 SMART100 건설을 위한 기반을 확보하였으며, 제3국 수출을 통한 SMR 시장 진출뿐만 아니라 현재 정부 주도로 개발 중인 혁신형 SMR(i-SMR)의 표준설계인가 획득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ㅇ 사우디 측은 SMART100 건설허가 신청 전 표준설계인가를 받아 건설허가에 대한 부담이 완화되어 향후 사업 추진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ㅇ 또한, 후쿠시마 사고와 같은 상황에서도 외부자원 없이 장시간 안전성을 확보한 피동안전계통을 적용해 중동국가 및 캐나다 내륙지역 등의 분산전력망 환경을 가진 국가에도 수출할 수 있다.
ㅇ 특히, 캐나다 수출을 위해 SMART100을 경량화한 모델(동일 출력, 무게 1/2)인 SMART-C도 인허가 시현성이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SMR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ㅇ 혁신형 SMR(i-SMR)은 SMART100 설계에 반영된 일체형 원자로, 완전 피동형 안전계통 등에 혁신 기술을 더한 차세대 한국형 SMR로, 2028년까지 표준설계인가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원자력연 주한규 원장은 “SMART100 원자로의 표준설계인가는 안전성이 입증된 것으로 SMART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라며, “SMR 도입을 추진 중인 사우디, 캐나다, 튀르키에, 남아공 등의 국가에 SMART가 수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붙임1. SMART100 개요
붙임2. SMART 개발 추진 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