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신기술 기반 핵신 안전기술 개발
방사선 재해를 방지하는 최상의 원자력 안전 혁신기술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우리 사회가 안심하고 원자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최상의 과학기술적 해법을 제시합니다.
원자력 이용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눈높이는 그 어느 때보다 높습니다.
연구원은 원전 사고 예방부터 사고 발생 시 환경 방호, 그리고 사용후핵연료의 안전한 처분, 원자력 시설 해체에 이르기까지 원자력 안전과 관련한 모든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해 분야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인공지능 기반 원전 자율 운전 기술, 중대사고 대처 로봇, 3D 프린팅 이용 부품 생산 기술 등 첨단 안전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그동안 우리가 개발한 원자력안전기술은 국가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안정적인 원자력 발전에 기여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안전한 원자력을 위해 원자력 안전 기술 개발을 더욱 강화해나갈 것입니다.
연구 내용

'사고예방→완화→신속대응'으로 이뤄지는 신개념의 「전주기 안전R&D」로 국민이 안심하는 수준의 신 안전기술을 확보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ICT 등 발전된 주변기술 역량을 원자력에 활용해서 원전사고를 예방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원전에 이상 징후가 발생하면 조기에 진단하고 예방하는 연구가 대표적입니다.
지진이나 화재, 여러 원전에서의 동시 사고 등 원전 운영에서의 안전현안을 해결하는 연구도 여기에 해당합니다. 사고에도 안전한 핵연료 개발과 원전 부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혁신소재 개발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원전에서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중대사고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구도 수행합니다.
사고가 나더라도 진행을 늦출 수 있는 관리능력을 제고하는 사고완화 연구 또한 중요합니다.

원전 안전설비를 개선하고 인적오류를 낮추는 연구, 중대사고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스크 저감 연구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신속대응은 사고 시의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고, 방호·방재 대책기술을 강화하는 연구입니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비상시 국민 안심 대응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사고 시 방사선 고농도 지역을 사전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연구원은 이와 같은 「전주기 안전 R&D」체계 확립과 함께, 자체 보유한 대형 연구시설을 활용해서 세계적 수준의 안전연구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습니다.
국내 유일의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와 핵주기 시설 등의 운영에 대한 주기적 모니터링과 안전성 보강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원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종합 실험할 수 있는 열수력종합효과실험 장치(ATLAS) 등을 활용한 국제 공동연구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원전 안전성 및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고 동북아 안전 연구 허브 구축에 기여합니다.
연구 시설
아카이브, 관련 보도자료
아카이브
관련 보도자료
-
관련 보도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