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전체 1,407건 페이지 1/141
-
원자력 연구의 AI 혁명을 위한 전략적 맞손 -원자력연, ㈜젠티와 거대언어모델 기술 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A) 체결--원자력 연구 관련 복잡한 자료의 신속한 분석을 통해 연구 효율성 극대화 목표-□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26일 인공지능 스타트업인 ㈜젠티(대표 최은진)와 원자력 연구 효율성 강화를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 구축을 위해 거대언어모델(LLM) 기술 활용에 관한 업무협약(MOA)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ㅇ 이번 협약은 연구원이 최근 선보인 원자력 특화 AI 솔루션 ‘AtomicGPT’와 ㈜젠티의 강력한 ... - 작성일
- 2025.03.27
- 조회수
- 100
-
차세대 원자로 SFR 핵연료 피복관 난제 해결 -원자력연, SFR 핵연료 피복관 내면에 순수 크롬 코팅층 제조 공정 개발--비정상 상황에서 핵연료 물질 확산 완벽 방지, 특허 출원 및 기술 이전 추진-□ 차세대 원자로 중 기술적 완성도가 가장 높아 유망한 노형으로 평가되는 소듐냉각고속로(Sodium Fast cooled Reactor, 이하 SFR), 빌 게이츠의 테라파워가 개발하고 있는 나트륨(Natrium) 원자로도 그 일종이다. 하지만 SFR은 핵연료와 피복관 사이의 화학반응으로 피복관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 작성일
- 2025.03.24
- 조회수
- 183
-
합성 염료, 폐플라스틱도 미생물이 해결! 원자력연, 친환경 기술 개발 - 방사선 이용해 구리 이온 내성 강화한 난분해성 오염물질 정화용 균주 개발 -- 환경 분야 우수 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자원순환 기술 개발·실용화 기대 -□ 산업활동에서 배출되는 합성 염료, 폐플라스틱 등의 독성 물질은 자연 분해가 어려워 환경오염과 건강 문제를 유발한다. 기존 화학적 처리 방식은 2차 오염을 유발할 수 있어 친환경 기술이 필요한데, 국내 연구진이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고효율 친환경 미생물을 개발해 화제다.사진1. 정종현 박사 연구팀이 방사선을 이용하여 개발... - 작성일
- 2025.03.20
- 조회수
- 160
-
우주항공용 나노반도체 내방사화 기술 개발 -원자력연, 나노반도체 표면에 얇은 금속산화물 층을 쌓는 방사선 영향 억제 기술 개발--양성자에 의한 오류 대폭 감소 효과 최초 확인, 차세대 우주항공용 반도체에 활용-□ 우주에는 많은 종류의 방사선이 다량 존재하며, 이는 반도체를 사용하는 제품 고장 중 30% 이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방사선을 견디는 내방사화 기술은 차세대 우주항공용 반도체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우주방사선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양성자에 대한 반도체의 내방사화 기술을 개발해 기대를 모은다.사... - 작성일
- 2025.03.06
- 조회수
- 373
-
인사(人事) -2025년 3월 1일자-< 부장 >△ 안광현 경수형SMR계통기술개발부장 △ 주호영 경영관리부장 < 팀장 >△ 김경인 기술사업화팀장 - 작성일
- 2025.03.04
- 조회수
- 365
-
원자력연, 하나로 중성자 소각산란장치를 활용한 무음극배터리용 맥신 복합체 개발 - 초미세 은 입자 주입한 맥신 복합체 개발, 배터리 수명, 안전성 강화-- 중성자 소각산란 장치로 신소재 효과 입증 완료-□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무음극배터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맥신 복합체를 개발해, 중성자 소각산란 장치로 정밀 분석하고 성능 입증까지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ㅇ 무음극배터리는 기존 배터리에서 음극을 제거하여 더 작고 가벼우면서에너지 저장 용량은 늘어난 차세대 배터리이다. 특히 전기차(EV),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높은 에너지 밀도와 경량화가 필요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 - 작성일
- 2025.02.27
- 조회수
- 386
-
우라늄 흡착용 하이브리드 나노 신소재 개발 -원자력연, 우라늄 추출 성능이 탁월한 실리카 나노구조체 합성 성공--단일 공정으로 가능해 경제성과 친환경성 강화, 방사성폐기물 관리 등에 활용-□ 우라늄은 자연 상태에서 다양한 물질에 녹아 있고, 방사성폐기물에도 다량 있어 효과적으로 추출해 회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우라늄 추출은 일반적으로 흡착제를 사용해 이루어지는데, 상용화된 흡착제는 현재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우라늄 흡착 성능이 탁월하면서도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신소재를 개발해 관심을 끈다.사진 1. 한국... - 작성일
- 2025.02.24
- 조회수
- 413
-
원자력연, 출연연 최초 ‘상생경영 우수기업’ 인증 획득 - 지역사회 상생 및 사회공헌 프로그램에 대한 우수성, 효과성 인증받아 -□ 한국원자력연구원이 2월 21일 출연연 최초로 ‘상생경영 우수기업 인증’을 획득했다. ㅇ 상생경영 우수기업 인증제도는 한국경영인증원이 심사대상 기관의 상생프로그램 연계성, 효과성, 지속가능성 및 사회공헌 운영체계 적합성을 심사‧평가하여 인증하는 제도이다. 원자력연구원은 네 번째로 선정된 기관이자 출연연 중 최초로 인증을 획득했다.사진 1. 한국원자력연구원이 한국경영인증원으로부터 상생경영우수기업 인증을 획득했... - 작성일
- 2025.02.24
- 조회수
- 294
-
원자력硏, 제10회 사업화 유망 원자력 기술 설명회 개최 - 2월 27일 서울에서 개최, 원자력/이차전지 분야 등 58개 기술 소개 -□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제10회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업화 유망 기술 설명회’를 오는 27일 서울 스페이스쉐어 삼성역센터 리젠시홀에서 개최한다. ㅇ 2016년에 시작해 매년 꾸준히 열려 10주년을 맞이한 올해 설명회에서는 연구원이 보유한 2,000여 개의 특허 중 △ 차세대 원자력 △ 소프트웨어 △ 반도체·디스플레이 △ 부품·소재·재료 △ 로봇·이차전지&mid... - 작성일
- 2025.02.20
- 조회수
- 393
-
원자력연, 국내 최초 원자력·핵융합 재료 철 이온빔 조사 서비스 개시 초당 1,000억 개 철 이온 조사, 철강 재료 정밀 평가 가능--국내 유일 재료 전용 이온조사연구시설, 차세대 원자력·핵융합 재료 연구 지원 확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원자력 및 핵융합 재료 연구를 위한 철(Fe) 이온빔 조사 서비스를 3월부터 개시한다고 19일 밝혔다.사진 1. 한국원자력연구원 핵물리응용연구부는 KAHIF를 이용하여,국내 최초 철 이온 조사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원자로 및 핵융합로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중성자는 핵연료 피복관과 구조재료 등 핵심 부품에... - 작성일
- 2025.02.19
- 조회수
-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