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 ㄷ
- 2016.01.27
- 진행상태
- 마감
- 조회수
- 14,002
1. 모집직종 및 수행업무
가. 고급전문인력: 석·박사 학위 취득자로서 전문분야의 연구과제 등에 참여하면서 연구를 수행하는 업무
나. 연구실험직: 연구사업 과제에 직접 참여 또는 관여하여 연구업무를 지원 및 보조하는 업무
2. 고용계약기간
가. 고급전문인력
- 박사후연수생: 최대 3년(1년 단위로 계약하여 연장 가능, 석사후연수생 기간 포함)
- 석사후연수생: 최대 3년(1년 단위로 계약하여 연장 가능)
나. 연구실험직
- 최대 3년(1년 단위로 계약하여 연장 가능)
3. 응시자격
가.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나. 남자는 병역필, 면제자 또는 전문연구요원(현재 전문연구요원 근무 중으로 연구원으로 전직이 가능한 자, 신규 편입은 불가)
- 관련 증빙자료 제출자에 한함
다. 모집분야에서 요구하는 전공 및 학위소지자 (2016년 2월까지 졸업예정자 포함)
- 원서접수 마감일(2016.2.5.)까지 졸업증명서 또는 졸업예정증명서(확인서) 제출 시에만 접수 가능
- 졸업예정자는 학교에서 발급하는 공식 졸업예정증명서를 제출하되, 접수마감일까지 증명서 발급이 불가한 응시자는
【붙임1】의 졸업예정확인서(지도교수, 학과장 서명 필요)를 작성하여 제출 요망
※ 졸업예정자의 경우 발령예정일 전까지 학위 취득을 조건으로 함
4. 모집분야 및 관련학과(명시된 전공 외 관련 학과도 지원가능하며, 관련 학과 여부는 서류심사에서 결정)
근무지 | 모집 직종 | 모집분야 | 예정 업무 | 지원자격 | 기타 자격사항 | 채용일 | |
모집전공 (세부전공) | 학력 | ||||||
대전 | 고급 전문 인력
| A1. SMART계통설계 | - SMART 종합설계 최적화 방안 검토 및 관리 - SMART 원자로 및 핵연료 설계 기술 및 공정관리 | 원자력공학, 기계공학, 열수력 | 석사 | 영어회화 및 작문 우수자 선호 | 16.3.1 |
A2. SMART노심설계 | - SMART 노심 열수력 설계 코드체계 개선 - 격자계산용 코드 개발 및 유지보수 - SMART 노심보호계통 설계 및 해석 | 원자력공학, 기계공학 (원자로물리, 열유체) | 박사 |
| 16.3.1 | ||
A3. SFR계통설계 | - 고온 구조설계 및 건전성 평가 - 안전해석 입력자료 생산 | 기계공학 | 석사 |
| 16.3.1 | ||
A4. 계측제어ㆍ 인간공학연구 | - 기기손장 시험 Test-Bed 설계, 제작 설치 - 기기손상 진단 및 수명예측 알고리즘 개발 | 원자력공학 (인간공학, 감시진단예측) | 박사 |
| 16.3.1 | ||
A5. 계측제어ㆍ 인간공학연구 | - 사이버보안성 평가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 분석/평가시스템의 시제품 개발과 검증 | 컴퓨터공학관련 (사이버보안) | 석사 이상 | 제어시스템(ICS, SCADA)및 IT 사이버보안 R&D 경력자 선호 | 16.3.1 | ||
A6. 설계종합 | - 소듐냉각고속로 공정 관리 지원 - 소듐냉각고속로 설계 및 연계조정 지원 | 원자력공학, 기계공학, 유체, 시스템 공학 | 석사 |
| 16.3.1 | ||
A7-1. 열수력안전연구 | - PGSFR에 대한 MARS-LMR 입력 작성 및 검증 - 주요 불확실성 변수 범위 및 분포 설정 | 기계공학, 원자력공학 | 박사 | MARS/MARS-LMR 해석 경험 또는 원자력 계통 안전해석 관련 업무 경력자 선호 | 16.3.1 | ||
A7-2. 열수력안전연구 | - 스마트 ITL 종합효과시험 및 해석 - 원자로 열유체 모의 실험장치 설계 및 제작 - 피동고압충수용 혼합형 SIT 시험 및 해석 | 기계공학, 원자력공학 (열유체) | 박사 |
| 16.3.1 | ||
A8. 원자력환경안전연구 | - 방사선치료 효능 증진에 대한 약물 개발 - 암줄기세포 바이오 마커 발굴 | 방사선 동위원소 응용, 생명공학 | 박사 |
| 16.4.1 | ||
A9. 종합안전평가 | - 몬테칼로 샘플링을 통한 고장수목 정량화 방법 개발 | 원자력공학 (확률론적안전성평가) | 박사 |
| 16.3.1 | ||
A10. 중대사고ㆍ 중수로안전연구 | - SMART 중대사고 경위해석 - 원자로용기 관통부 파손기구 규명을 위한 해석 | 원자력공학, 기계공학, 환경공학, 항공공학, 조선공학 (열물질전달, 열유체역학, 다상유동, 열수력해석) | 박사 |
| 16.3.1 | ||
A11. 중대사고ㆍ 중수로안전연구 | - 원자력 발전소 중대사고 해석 - 경/중수로 사고해석용 열수력/노물리 모델 개발 | 원자력공학, 기계공학 | 석사 |
| 16.3.1 | ||
A12. 원자력소재개발 | - 고에너지 볼밀 공정 최적화 -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SiC 복합체 피복관 제조 - 고온 원자력 재료의 응력이완 관련 시험/평가/해석 | 재료공학, 기계공학 (세라믹공학, 재료파괴) | 박사 |
| 16.3.1 | ||
A13. 원자력소재개발 | - SiC 복합재료 제조 | 재료공학 (세라믹공학) | 석사 |
| 16.3.1 | ||
A14. 원자력재료안전연구 | - 펄스와전류 실험 및 프로그램 제작 | 재료공학 (비파괴) | 박사 |
| 16.3.1 | ||
A15. 국제교육 | - 사우디 SMART 설계요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및 파견인력의 국내 정착 지원 - 신규 국제 교육과정 개발 | 이공계열 및 교육학, 교육심리, 교육공학 | 박사 | 영어회화 가능자 선호 | 16.4.1 | ||
A16. 역량개발 | -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직원교육훈련 체계 및 계획 수립 지원 | 이공계열 및 교육학, 교육심리, 교육공학 | 박사 |
| 16.3.1 | ||
A17. 양자광학연구 | - 레이저 광계측 기술 개발 | 기계공학, 물리학 (광응용) | 석사 | 레이저 광 기술 관련 경력자 선호 | 16.3.1 | ||
A18. 양자빔기반방사선연구 | - 교번 자장기 설계 및 테라헤르츠 발생 실험 | 물리학 | 박사 |
| 16.3.1 | ||
A19. 양자빔기반방사선연구 | - 전자빔을 이용한 고출력 THz 발생 및 진단 | 물리학 (THz 및 비선형광학) | 석사 이상 |
| 16.3.1 | ||
A20. 원자력융합기술개발 | - 플랜트 설비 이상상태 감시/진단용 신호처리 알고리즘 연구 - 이상상태 감시/진단용 센서부/신호처리 회로 설계 | 전자공학, 정보통신공학, 컴퓨터 공학, 기계공학 | 박사 | - 기기 이상상태 감시/진단용 소프트웨어개발 또는 신호처리회로설계 경력보유자 선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파견근무(~18.11.30) 가능자에 한함 | 16.3.1 | ||
A21. 원자력융합기술개발 | - MCNP 및 Solidworks 전산 모델링 수행 - 기기 이상상태 감시/진단 소프트웨어 개발 | 전기/전자공학, 기계공학 | 석사 |
| 16.3.1 | ||
A22. 원전제염해체기술개발 | - 해체정보 수집 및 자료평가 - 나노복합유체 제염제를 이용한 제염 연구 | 에너지공학, 화학공학, 원자력공학, 환경공학, 화학 (열수력학) | 석사 |
| 16.3.1 | ||
A23. 핵융합공학기술개발 | - 중이온빔 조사시험시설의 X 선 차폐설비 구축 - 중이온빔 재료조사시험 시설 설계 및 구축 | 물리학, 응용물리학 (핵융합, 가속기, 방사선) | 박사 |
| 16.3.1 | ||
A24. 하나로조사설비운영 | - 조사시험을 위한 열수력 및 안전해석 - 효율적인 조사시험 지원을 위한 장치 설계 및 해석 | 원자력공학 (열수력 실험 및 해석) | 석사 |
| 16.3.1 | ||
A25. 동위원소이용연구 | - 우주용 원자력전지 설계/해석/제작 업무 - Fission Moly 생산공정 중 Iodine 핵종 분리, 제거공정 개발 및 시설설계 | 기계공학 (열유동, 수화학) | 박사 |
| 16.3.1 | ||
A26. 동위원소이용연구 | - 방사선 계측 및 해석 - 방사성동위원소 활용 자성체 및 바이오물질분석 | 물리학 (고체물리) | 석사 이상 |
| 16.3.1 | ||
A27. 중성자응용기술 | - 산화물 반도체 박막 제조 및 특성 평가 - 조사(irradiation)를 이용한 재료 물성 변화 분석 및 평가 | 반도체재료공학, 전자재료공학, 신소재공학 | 박사 |
| 16.3.1 | ||
A28. 중성자장치개발관리 | - 중성자 초거울 제작 -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광학박막 제작 및 특성평가 | 기계공학, 물리학, 재료공학, 전자공학 (박막증착, 기계제도) | 석사 이상 | 박막증착 경험자 선호 | 16.3.1 | ||
A29. 경수로핵연료기술개발 | - 사고시(LOCA) 핵연료-열수력 궤환효과 실험장치 설계/제작 - 사고시 핵연료-열수력 거동 해석 | 기계공학 (열수력) | 박사 | - 사고조건 핵연료 혹은 압력관등 핵연료 구성장비 시험 경력자 선호 - 전산유체 해석 경력자 선호 | 16.3.1 | ||
A30. 연구로핵연료기술개발 | - 상용급 저밀도 표적 핵연료 물질 물성평가 실험 - 고밀도 표적용 핵연료 물질 물성평가 실험 | 재료공학, 금속공학, 신소재 공학 | 박사 |
| 16.4.1 | ||
A31-1. 원자력화학연구 | - 요오드 화학종 분석 연구 - 유기 요오드 방사선 조사 후 반응 특성 연구 | 화학공학 | 박사 | 요오드 전기화학 실험, 요오드 휘발 관련 실험, 요오드 방사선 조사 실험 경력자 선호 | 16.3.1 | ||
A31-2. 원자력화학연구 | - 고온 용융염 매질에서의 AN 및 LN 원소의 전기화학 및 분광학 연구 - 고온 용융염 매질의 물성 측정 연구 | 화학 (전기화학) | 박사 | 고온 용융염 매질 관련 실험, 전착 실험, SERS 및 전기화학 실험 경험자 선호 | 16.3.1 | ||
A32.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 | - 부지 조사 자료를 활용한 처분장 건설 전 지하수유동체계 모델링 - 처분장 폐쇄 후 지하수유동체계의 변화 모델링 | 지구환경과학 (수리지질학) | 박사 |
| 16.3.1 | ||
A33. 핵비확산시스템연구 | - 사용후핵연료 대상 감마선/중성자 측정 실험 - 비파괴 측정장비 설계 및 성능예측 시뮬레이션 | 원자력공학 | 박사 |
| 16.3.1 | ||
연구 실험직 | A34. 열수력안전연구 | - 스마트 ITL 피동검증 시험 보조 및 해석 | 기계공학, 원자력공학 | 학사 |
| 16.3.1 | |
A35. SMART사업관리 | - 설계(PPE)사업 관련 교육/훈련생 지원 업무 | 이공계열 | 학사 | 영어회화 가능자 선호 | 16.3.1 | ||
A36. 중대사고ㆍ 중수로안전연구 | - 방사선 관리 구역에 대한 방사선 작업 관리 - 방사선 관리 구역 내 실험 시설에 대한 방사선 안전관리 | 공학계열 | 학사 |
| 16.3.1 | ||
A37. 원자력소재개발 | - 입자융합 분말시편 미세조직 분석준비 - 신소재 (Advanced steel 등) 미세조직 분석 준비 | 금속재료공학, 신소재공학, 원자력공학 | 학사 | 영어 회화 및 작문 우수자 선호 | 16.3.1 | ||
정읍 | 고급 전문 인력 | B1-1. 방사선기기연구 | - 전자가속기 가속관 설계 및 제작 - 전자가속기 제어시스템 개발 | 물리학, 원자력공학, 전기/전자공학, 기계공학 | 박사 | - 가속기 관련 연구경력자 선호 - 고주파, 고전압, 고진공, 초전도 관련 연구 경력자 선호 - 레이저 혹은 광학 관련 연구 경력자 선호 - 전기, 전자, 물리, 기계, 원자력, 핵공학, 전산 분야 혹은 유사 분야 실험 경력자 선호 | 16.3.1 |
B1-2. 방사선기기연구 | - 고주파 가속기 개발을 위한 가속기 시뮬레이션 및 설계 - 가속기 성능 테스트 및 실험 진행 | 물리학, 전기/전자공학, 기계공학, 방사선 (가속기, 고주파, 전기전자, 제어, 기계, 방사선영상) | 박사 |
| 16.3.1 | ||
B2. 방사선기기연구 | - 사이클로트론 기반 테라그노스틱 방사성동위원소 분리 및 정제연구 - 68Ge/Ga 발생장치용 흡착제를 이용한 방사성동위원소 흡/탈착 연구 | 물리화학, 분석화학 (방사화학) | 박사 | 방사성동위원소 분리 및 정제연구 관련 경력자 선호 | 16.3.1 | ||
B3. 방사선기기연구 | - 사이클로트론 이온원 연구지원 - 사이클로트론 고주파 시스템 연구지원 | 전기전자공학, 가속기공학, 물리학 | 석사 이상 |
| 16.3.1 | ||
B4. 공업환경연구 | - 방사선을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제어 | 환경공학 | 박사 |
| 16.3.1 | ||
B5. 공업환경연구 | - 방사선 이용 이온성 고분자 멤브레인-탄소전극 복합체 제조 - 제조된 복합체의 기초물성 평가 실험 | 고분자공학 | 석사 |
| 16.3.1 | ||
B6. 방사선육종연구 | - 방사선육종 식물자원의 최적 추출물 확보 및 표준화 작업 수행 - 방사선육종 식물자원의 대사체 분리/정제/구조분석 | 약학, 화학, 한약학 (천연물화학) | 박사 |
| 16.3.1 | ||
B7. 생명공학연구 | - 온실재배용 ROS센서 성능평가 - 온실환경 병해충 진단 연구 | 농학 (시설원예학, 농업전기전자) | 박사 | ICT농업관련 연구, 온실재배 및 식물공장 센서실험 경험자 선호 | 16.3.1 | ||
경주
| 고급 전문 인력 | C1. 가속기연구 | - 이온원 및 고주파 운전조건에 따른 이온빔의 수송 최적화 - 고주파 가속공동 제작 및 튜닝 | 원자력공학, 물리학 (가속기, 플라즈마) | 박사 |
| 16.3.1 |
C2. 빔이용연구 | - 방사성동위원소 생산기술 개발 - 중성자원 설계 및 개발 | 화학, 원자력공학 | 박사 | - 동위원소 관련 연구 및 업무 경험자 선호 - 동위원소 화학적 공정 및 처리 업무 수행 가능자 선호 - 중성자원, 방사선 계측 경험자 선호 - NCNPX 등 유사 코드 활용 가능자 선호 | 16.3.1 | ||
연구 실험직 | C3. 빔이용연구 | - 빔이용연구실 연구업무 지원 및 보조 | 이공계열 | 학사 |
| 16.3.1 | |
C4. 가속기연구 | - 가속기연구실 연구업무 지원 및 보조 | 이공계열 | 학사 |
| 16.3.1 |
※ 근무지 중 정읍은 첨단방사선연구소, 경주는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 근무 조건임.
5. 모집인원 00명
6. 발령예정일 2016. 3. 1. 또는 4. 1. (모집분야별 명시)
7. 전형방법 및 일정
구분 | 일정(예정) | 비 고 |
서류 접수 | 2016. 1. 27. ~2016. 2. 5. | - 연구원 온라인 채용시스템(kaeri.career.co.kr)에 전산 접수 - 원서접수 기한 내 제출서류 미제출 시 접수 불가 |
면접대상자 발표 | 2016. 2. 15. | - 응시서류 완비자 중 모집분야 적격자에 한해 서류·면접 심사 일정은 원서접수 시에 사용한 이메일로 개별 안내 |
서류·면접심사 | 2016. 2. 16. ~2016. 2. 17. | - 장소: 대전 본원, 정읍 분원, 경주 분원 |
합격자 발표 | 2016. 2. 22. | - 연구원 온라인 채용시스템(kaeri.career.co.kr)을 통하여 확인 ※ 합격자에 한해 이메일 발송 ※ 채용분야에 적격자가 없을 경우 선발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최종합격자 중 입사포기자가 발생하는 경우 예비합격자 우선순위에 의거, 추가 합격자 선정 가능 |
※ 상기 일정은 기관 사정에 따라 일부 변동이 될 수 있음
8. 제출서류
구 분 | 내 용 | 제출방법 | |
1 | 응시원서 | - 기본 사항 | kaeri.career.co.kr 접속 후 온라인 작성 |
2 | 자기소개서 | - 응모동기 및 포부, 가족 및 성장배경, 대학 및 사회생활, 성향 및 취미, 업무수행자세 | |
3 | 병적증명원 또는 병적사항이 기재된 주민등록초본 | - 해외 응시자에 한하여 추후(면접심사 시) 보완 가능 - 전문연구요원은 초본이 아닌 병적증명원으로 제출 - 남자의 경우 주민등록초본은 반드시 병적이 기록되어 있어야 함 - 병적사항이 없는 여성의 경우 생략 | 스캔하여 kaeri.career.co.kr 파일 첨부 (PDF 권장) |
4 | 졸업증명서 또는 졸업예정증명서 | - 최종학위 졸업증명서 제출 - 졸업예정확인서 양식은 (붙임1) 참조 | |
5 | 성적증명서 | - 대학, 대학원 성적증명서 각 1부(학사, 석사, 박사 등 전 학력 모두) - 편입 시 편입 전 학교 성적증명서 포함 제출 | |
6 | 기본증명서 | - 스캔파일 1부(동사무소 또는 전자민원에서 발급) | |
7 | 증명사진 | - 스캔파일 1부 | |
8 | 최종학위 논문 요약자료 1부 (고급전문인력에 한함) | - 최종학위 논문 요약자료 1부(5매 이하)(PDF 권장) - 지원서상의 연구논문사항 작성 후 그에 따른 순서대로 증빙자료를 정리하여 제출 | |
9 | 경력증명서 또는 자격증 사본 | - 경력(재직)증명서: 실제 근무기관 인사담당 부서에서 발급받은 경력(재직)증명서만 인정하며, 국민연금공단 및 건강보험공단 발급서류는 인정하지 않음 ※ 경력 산정 근거자료로 활용되며, 원서접수 이후 보완 불가 ※ 위촉연구원 경력은 전일제근무 또는 일근무 시간이 표시된 증명서 제출 요망 ※ 전일근무가 아닌 파트타임제로 근무한 기간은 경력인정 불가 - 자격증: 자격증 소지자는 사본 제출(채용예정 직무와 관련된 산업기사 이상 자격증, 면허증 1부) | |
10 | 우대모집 증빙서류 | - 보훈대상자: 취업지원대상자 증명서 제출 - 장애인: 장애인등록증 사본 제출 | |
11 | 공인영어시험 증명서 (선택) | - TOEIC, TOEFL, TEPS 성적표 중 해당 성적표 제출 |
9. 원서접수
가. 접수방법: 온라인 접수 (이메일 접수는 받지 않음)
나. 접수기간: 2016. 1. 27.(수) ~ 2016. 2. 5.(금) 18:00까지 접수분에 한함
다. 접 수 처: http://kaeri.career.co.kr
라. 문의사항: 한국원자력연구원 인사기획팀 (T.042-866-6297, 042-868-4545)
10. 기타사항
○ 제출서류를 완비한 응시자에 한하여 원서접수가 가능하며 제출된 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제출서류 누락 시 불합격 처리)
○ 제출된 서류에 허위사실이 있을 경우 합격을 취소함
○ 관련증명서 제출 시 국가보훈대상자는 관련법령에 의거 우대
○ 장애인(증빙서류 제출자에 한함) 및 여성과학기술인력(여성응시자 중 이공계 전공자)은 연구원 별도 지침에 의거 가점 부여함
○ 채용분야에 적격자가 없을 경우 선발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최종 합격자 중 입사포기자가 발생하는 경우
예비합격자 우선순위에 의거, 추가 합격자 선정 가능
11. 연구원 소개
○ 우리 연구원은 연구 몰입환경 조성 및 효율적인 실험수행을 위하여 동종·유사 업무를 수행하는 계약직 직원에 대한 처우개선을 통해
정규직과 동일한 수준의 임금 및 복리후생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더불어, 계약직 직원으로 근무하였거나 근무 중인 우수 인력에 대하여 정규직 공개채용 시 매 전형 단계별 가산점 부여 등의
정규직화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주요 임무 및 기능 (홈페이지 참조)
- 한국원자력연구원 홈페이지: http://www.kaeri.re.kr
※ (정읍) 첨단방사선연구소 주요 임무 및 기능 (홈페이지 참조)
- 첨단방사선연구소 홈페이지: http://www.arti.re.kr
※ (경주)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 주요 임무 및 기능 (홈페이지 참조)
-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 홈페이지: http://www.koma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