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한국원자력연구원 대표 홈페이지>연구개발>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원자력 인프라 활용 극대화
원자력 인프라 활용 극대화
도전적·창의적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체 보유한 대형 원자력 연구 인프라를 국내 산·학·연에 개방해서 공동 활용하고 있습니다. 미래 과학기술 경쟁력의 핵심인 기초과학 연구 성과를 높이는 데는 대형 연구시설의 활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연구원은 산업 분야와 학술 분야에서 필요한 연구 및 실험을 지원함으로써 국가의 기초·원천 과학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기여합니다. 정부 재원으로 지어진 대형 연구시설을 학계와 기업, 타 연구기관 종사자가 편리하게 활용해서 학술적·산업적 성과를 이루도록 지원하는 것은 연구원의 고유 임무이기도 합니다. 이를 위해 대형 원자력 연구시설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내·외부 이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항상 노력합니다.
연구 내용
연구원은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와 양성자 가속기, 방사선 조사시설 및 융합연구 지원시설 등 자체 보유한 대형 연구시설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모든 시설을 안전하게 운영함으로써 대형 인프라 시설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나로 건물 외벽의 내진보강과 PSR(Periodic Safety Review, 주기적 안전성 평가) 승인 등 인프라의 안전한 운영체계 확립을 위해 노력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하나로와 양성자 가속기의 가동률을 연평균 90% 이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나아가 중성자 산란장치 15기 이상을 가동해서 서비스 활용도를 높이고, 전자선실증시설(2018년) 및 양성자 기반 Li-8 실증장치(2019년), 차세대 방사광 가속기 및 융합연구 지원시설(장기과제)을 구축해서 다양한 연구 수요에 기여하겠습니다.
대형 원자력 인프라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요자 중심의 통합 이용지원 체계를 내실화하고, 타 연구기관과 시설을 공동 이용하는 융복합 연구과제를 발굴·수행합니다. 전자선실증연구동, 방사선기기팹센터, 냉중성자실험동 등을 활용한 산학연 기술 지원 서비스도 한층 강화할 계획입니다.
세부 연구주제
대형 연구시설의 안정적 운영(하나로, 양성자 가속기, 방사선 조사시설 등)
대형 연구시설 안전성 고도화 기술
대형 연구시설 성능 고도화 기술
대형 연구시설 공동이용 활성화
우주·자연방사선 환경 모사 및 영향평가 체계 및 기술
2차 입자 방사선(펄스 중성자, Li-8 등) 생성 및 이용 기술
입자 빔 이용 정밀·정량 분석기술(PIXE, RBS 등)
관련 부서
중성자과학부
하나로운영부
하나로이용부
연구로핵연료부
가속기개발연구부
입자빔이용연구부
동위원소연구부
핵물리응용연구부
방사선바이오연구부
방사선융합기술연구부
연구 시설
연구시설
방사선 조사시설
고준위 및 저준위 감마선 조사장치, 전자선 가속기, 이온주입장치, 감마 파이토트론 등 방사선을 이용한 기초 및 응용 기술 개발을 수행하는 시설
연구시설
하나로 중성자 이용시설
하나로 원자로홀에 설치된 중성자 투과비파괴검사장치(NRF), 고분해능 분말 회절 장치(HRPD), 단결정 4축 회절장치(FCD), 중성자 잔류응력 측정장치(RSI), 수직형 중성자 반사율 측정장치(REF-V), 수평형 중성자 반사율 측정장치(REF-H), 고중성자속 분말 회절장치(HIPD), 노외 중성자 조사시설(ENF), 즉발 감마선 방사화 분석장치(PGAA), 중성자방사화 분석장치 등 중성자를 이용해서 물질 및 신소재의 내부구조 및 표면구조 연구, 반도체/유전체/고분자 및 나노소재 연구 등에 활용
연구시설
냉중성자 연구시설
냉중성자 삼축분광장치(Cold-TAS), 40M 중성자 소각산란장치(40M SANS), 18M 중성자 소각산란장치(18M SANS), 중성자극소각산란장치(KIST-USANS) 등 연구용 원자로에서 생성된 중성자를 극저온화한 냉중성자를 이용한 산란장치를 통해 살아있는 생체 시류의 구조 분석, 나노 및 바이오 연구, 소재 및 재료 연구 등에 활용
연구시설
양성자 가속기
수소 원자에서 전자를 제거하고 남은 양성자를 고전압을 이용해서 빛의 속도의 43%인 초속 13만㎞로 가속한 뒤 물질과 충돌시켜 물질의 구조와 특성을 원자 수준에서 변형시키는 장치. 나노(금·은 나노입자 제조, 나노 가공), IT(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 활용되는 고효율 전력 반도체 소자 개발), 생명공학(돌연변이 육종을 통한 신품종 유전자원 개발), 우주 항공(내방사선 부품 개발), 에너지 및 환경(태양전지 개발), 의료(양성자 암치료 기술 개발, 동위원소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연구시설
RFT-30 사이클로트론
수소 음이온을 가속해서 만든 양성자 빔을 이용해서 의료용 및 산업용 방사성 동위원소 개발과 기초과학 연구에 활용하는 입자 가속기
연구시설
방사선 조사시설
고준위 및 저준위 감마선 조사장치, 전자선 가속기, 이온주입장치, 감마 파이토트론 등 방사선을 이용한 기초 및 응용 기술 개발을 수행하는 시설
연구시설
하나로 중성자 이용시설
하나로 원자로홀에 설치된 중성자 투과비파괴검사장치(NRF), 고분해능 분말 회절 장치(HRPD), 단결정 4축 회절장치(FCD), 중성자 잔류응력 측정장치(RSI), 수직형 중성자 반사율 측정장치(REF-V), 수평형 중성자 반사율 측정장치(REF-H), 고중성자속 분말 회절장치(HIPD), 노외 중성자 조사시설(ENF), 즉발 감마선 방사화 분석장치(PGAA), 중성자방사화 분석장치 등 중성자를 이용해서 물질 및 신소재의 내부구조 및 표면구조 연구, 반도체/유전체/고분자 및 나노소재 연구 등에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