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전체 1,291건 페이지 129/130
-
한일 블랭킷 기술 워크숍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은 서울대학교 핵융합로공학 선행연구센터(황용석 센터장), 국가핵융합연구소(이경수 소장)와 공동으로 ‘한‧일 블랭킷 기술 워크숍’을 2월 26~27일 이틀간 서울대 엔지니어하우스(310동) B102호에서 개최한다. 이번 워크숍은 지난 2005년 인류의 에너지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핵융합 에너지 개발 협력을 위해 체결한 한‧일핵융합협력협정의 인력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행사로, 고니시 사토시 교토대 교수 등 일본 핵융합 전문가 13명 ... - 작성일
- 2009.02.25
- 조회수
- 14,725
-
다중강성물질 새 전기적 특성 발견 한국인 연구팀 사이언스誌 게재 한국 과학자들이 전기적 성질과 자기적 성질을 동시에 갖는 다중강성 물질 비스무스철산화물(BiFeO3)의 전하수송 특성과 광기전력 효과를 세계 최초로 발견, 관련 논문이 세계적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誌 온라인 판에 20일 게재됐다. 미국 럿거스대 물리학과 정상욱 석좌교수와 같은 대학 박사후연구원 최택집 박사, 한국원자력연구원 중성자과학연구부 이성수 박사 연구팀은 단결정 비스무스철산화물(BiFeO3)에 외부 전기장에 의해 전하 수송 방향이 조절되는 다이오드 특성과, 빛을 조사하면 기전력이... - 작성일
- 2009.02.19
- 조회수
- 14,317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이용, 8인치 NTD 반도체 생산기술 개발 하이브리드 자동차, 고속 전철, 풍력 및 태양광 발전소 등에 사용되는 대용량 고품질 실리콘 반도체를 세계에서 가장 큰 지름 8인치까지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에서 개발해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 하나로운영부 박상준 책임연구원 팀은 ‘중성자 핵변환 도핑(NTD; Neutron Transmutation Doping)’ 기술을 이용,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에서 지름 8인치의 실리콘 단결정(ingot)에 중성자를 조사해서 고품질 실리콘 반도체를 생산할 ... - 작성일
- 2009.02.18
- 조회수
- 16,041
-
한국원자력문화재단과 업무협력 양해각서 체결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은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이사장 이재환)과 원자력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도 제고와 원자력 기술 수출 지원을 위한 홍보협력 등을 위해 상호 협조하기로 하고 2월 16일 오후 5시 서울 금천구 독산동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사무실에서 업무협력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양해각서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이하 연구원)과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이하 재단)은 △원자력 전략수출 총력 지원을 위한 홍보협력 상호 협조 △원자력 진흥을 위한 각종 사업의 공동 기획 및 수행 △양 기관의 공동 관심사에 ... - 작성일
- 2009.02.16
- 조회수
- 14,602
-
IAEA와 공동으로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략' 사이버 국제교육 과정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협력해서 개발한 e-트레이닝 플랫폼을 활용해서 아시아 각국 원자력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교육 과정을 개최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교육센터는 IAEA와 공동으로 2월 16일부터 27일까지 2주간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략 검토용 MESSAGE 모델‘에 관한 사이버 교육을 실시한다. 우리나라와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파키스탄, 필리핀, 태국 등 9개국 34명이 참가하는 이번 교육은... - 작성일
- 2009.02.12
- 조회수
- 14,861
-
초소형 고효율 동위원소 발생기 제조기술 민간기업 이전 악성 골종양이나 간암 폐암 방광암 골수암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방사성동위원소 레늄-188(188Re)을 의료 현장에서 간편하게 추출해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 고효율 발생기 제조 기술이 민간기업에 이전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은 동위원소이용기술개발부 이준식 박사가 개발한 레늄-188 발생기용 흡착제 제조 기술을 방사선 전문기업인 ㈜엔바이로코리아(대표 서은미)에 이전하기로 하고 기술실시 계약을 체결했다. 고정기술료 3억 원에 제품 판매금액의 3 %를 경상기술료로 별도 지급... - 작성일
- 2009.02.05
- 조회수
- 14,858
-
우리가 만든 원전 안전 소프트웨어, 세계가 함께 쓴다 우리가 만든 원자력 발전소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이 원자력 종주국인 미국은 물론, 일본, 캐나다와 독일, 스위스, 파키스탄 등에 수출 또는 무상 제공되는 등 이 분야에서 세계를 이끌고 있는 우리 기술력이 세계 각국의 인정을 받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 종합안전평가부는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확률론적으로 평가하는 PSA(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소프트웨어의 하나로 교육과학기술부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불확실성 분석 프로그램 MOS... - 작성일
- 2009.02.04
- 조회수
- 15,195
-
경북대와 업무협력 양해각서 체결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은 경북대학교(총장 노동일)와 방사선 계측기 및 정밀 측정 분석기술 등 방사선 기술 개발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합의하고 1월 29일 연구원 본관동 2층 대회의실에서 업무협력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양해각서에서 양 기관은 △공동연구 △인력교류 및 학․연 협동과정 운영 △시설ㆍ장비 공동 활용 △학술 및 기술정보 공동활용 등에 합의했다. 양 기관은 또한 원자력연구원의 연구원을 경북대 겸직교원으로, 경북대 교원을 원자력연구원 겸임연구원으로 각각 위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과... - 작성일
- 2009.01.29
- 조회수
- 14,762
-
연구용 원자로 설계기술 수출 첫 성사 우리나라 원자력계가 연구용 원자로 설계 기술을 처음으로 해외에 수출한다. 향후 15년간 15조~2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연구용 원자로 시장 본격 진출과 함께, 국내 원자력계 숙원인 원자력 시스템 일괄 수출을 향한 청신호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과 한국전력기술(주)(KOPEC, 사장 권오철)은 그리스 국립과학연구소(NCSR Demokritos)가 발주한 ‘GRR-1 연구로 설계개선 용역’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는 최종 통보를 지난 21일 받았다... - 작성일
- 2009.01.23
- 조회수
- 14,548
-
아미노산 함량 70% 높인 신품종 벼 '골드아미 1호' 개발 방사선 돌연변이 육종 기술을 이용해서 아미노산 함량을 기존 벼보다 최대 70퍼센트까지 높인 신품종 벼가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생명공학연구부 김동섭 박사팀은 벼의 눈을 떼어내 조직을 배양한 뒤 방사선의 일종인 감마선을 쪼여서 아미노산을 합성하는 유전자의 변이를 유도함으로써 아미노산 함량을 대폭 높인 신품종 벼 ‘골드아미 1호(GoldAmi-1)’를 개발하고 품종보호권 출원(2008-399), 국가품종목록 등재 신청(2008-33) 및 품종... - 작성일
- 2009.01.22
- 조회수
- 14,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