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전체 1,395건 페이지 2/140 연도별 2025년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제목 및 내용 제목 내용 검색 원자력 특화 거대언어모델 ‘AtomicGPT’ 공개 - 원자력 분야에서 기존 언어모델의 성능을 추월 -- 원자력 연구와 원전제어 지원을 위한 에이전트로 확장 계획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원자력 분야에 특화된 인공지능 거대언어모델 ‘AtomicGPT’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해당 모델은 전세계 언어모델이 공유되는 허깅페이스(Huggingface)에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ㅇ 이번 개발에는 연구원 디지털원자로·AI연구센터 인공지능응용연구실 유용균 실장과 염승돈 UST(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석사과정 학생,... 작성일 2024.12.11 조회수 904 인사(人事) - 2024년 12월 11일 자 -< 부장 >△ 정성현 행정부장 △ 이강우 안전방호부장< 팀장 >△ 김아영 시설팀장 △ 이정섭 중대재해관리팀장 작성일 2024.12.10 조회수 512 입자빔을 활용한 반도체 성능 향상 기술 개발 -원자력연, 상용 반도체 기판에 전하 이동도를 높이는 입자빔 주입 기술 개발--값비싼 소재 변경 없이 성능 향상 가능, 디스플레이 및 태양전지 산업 활용 기대-□ 반도체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다. 반도체 소자에서 전하(charge)가 얼마나 빠르게 퍼져나가는지를 의미하는 전하 이동도 역시 그중에 하나다. 하지만 상용 기판을 사용하는 반도체의 전하 이동도를 높이는 것은 난제로 남아있었다. 그런데 최근 입자빔을 활용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밝혀져 기대를 모은다.사진 1. ... 작성일 2024.12.10 조회수 692 원자력硏, 세계 최초 로봇·센서 활용 방사성핵종 분리 장치 개발 -분리 시간, 작업자 노동력, 시료 사용량, 핵종 분석물 손실 최소화 -- 방사성폐기물의 교차오염 없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석 기대 -□ 방사성폐기물 관리 시 안전 처분, 부피 감용 등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방사성핵종 분석을 필수로 진행해야 하는데, 분석은 크게 전처리, 분리, 계측 과정으로 나뉜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신개념 ‘분리’ 장치를 개발해 눈길을 끈다.사진 1.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로봇과 센서를 활용해 신개념 방사성핵종 분리 장치를 개발하고 핵종 분리 실험에 성공했... 작성일 2024.12.03 조회수 809 “선생님의 사랑에 보답합니다.” 원자력연, 지역 교원 응원키트「옐로박스」전달 - 유성구 중․고등 선생님 대상 응원물품, 총 2,020박스 지원 -□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추운 겨울 따뜻한 마음을 전하기 위해 지역 교원 응원키트 「옐로박스」 전달식을 27일 대전광역시교육청에서 열었다고 밝혔다. ㅇ 「옐로박스」는 연구원이 기획한 비대면 사회공헌활동 중 하나로, 소방구급대원, 보건 의료진 등 지역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헌신하는 분들을 응원하는 캠페인이다. ㅇ 지난해 유성구 관내 유·초등학교 교원만을 대상으로 한 아쉬움을 해소하고자, 올해는 중·고등학교 교원으로... 작성일 2024.11.28 조회수 500 K-해양방사능분석, 국제표준으로 인정받아 -원자력연의 스트론튬-90 신속분석법, 국제표준화기구(ISO) 수질분야 표준으로 승인--해수 중 스트론튬-90 하루면 확인 가능, 국내외 방사능 분석 기관에서 기술 채택-□ 해수 중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인 스트론튬-90은 매우 극미량이며, 화학적 거동이 유사한 물질이 많아 분리 측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몇 해 전 국내 연구진이 분석 절차를 간소화하고 소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기술을 개발해 화제였다. 그런데 최근 그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인정받아 우리나라가 해양방사능분석을 주도한다는 기분... 작성일 2024.11.28 조회수 656 KAERI-ETRI, 글로벌 R&D 교류의 장 열다 - 주한 해외대사 초청...『Global R&D Friend’s day』개최 -- 연구현장 공개를 통해 세계에 대한민국 R&D 열정 전파 -□ 국내 최고의 정부출연연구기관 두 곳이 힘을 합쳐 글로벌 R&D 협력을 위한 교류의 장을 마련한다. 양 기관은 행사를 통해 글로벌 최고의 연구현장을 공개하고, 대한민국 연구성과를 세계에 널리 알릴 계획이다.사진 1. 26일 EU 대표부 등 주요국 주한대사 일행이 한국원자력연구원의 SMART-ITL을 둘러볼 예정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과 한... 작성일 2024.11.28 조회수 544 원자력硏,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 데이터 수집 열시험 장치 개발 - 열시험 장치 생산 데이터로 실제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 열 평가 --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 안전관리·효율적 설계에 기여 -□ 사용후핵연료의 안전한 보관은 전 세계 원전 사용 국가의 숙제다. 국내에서도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을 준비 중인데, 핵연료 모니터링이 핵심인 시설 내부는 방사성 물질이 있어 실제 온도 측정이 어렵다. 그래서 보수적으로 온도를 추정해 왔지만, 국내 연구진이 해결법을 찾아 주목받고 있다.사진 1. 연구진이 사용후핵연료 건식 캐니스터 열시험 장치에서 도출한 ... 작성일 2024.11.28 조회수 559 동위원소 소재 전문기업 ㈜큐토프, 대규모 투자 유치로 사업확장 본격화 -원자력연 출신 정도영 대표, 레이저 기반 동위원소 분리 기술로 2021년 창업--올해 시리즈A 투자 50억 유치 성공, 동위원소 소재 R&D 및 양산 체제 구축에 활용-□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구원 창업기업인 ㈜큐토프(대표 정도영)가 올해 총 50억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ㅇ ㈜큐토프는 연구원 양자광학연구부에서 개발한 ‘레이저 기반 동위원소 분리 기술’을 이전받아 방사성의약품 핵심 소재인 산소-18 농축수 등을 공급하고 있는 동위원소 소재 전문기업이다. ㅇ 2... 작성일 2024.11.28 조회수 595 국내 최초 방사성의약품 QbD 적용, 제조 공정 최적화 성공 - 원자력연, 최적 공정 설계로 소아암 치료제 생산량 증대, 생산 시간 획기적 감축 -□ 미국과 유럽에서는 의약품 제조 시 QbD(Quality by Design, 설계 기반 품질고도화)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원자력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방사성의약품에 QbD 기법을 적용하고 제조 공정 최적화에 성공해 화제다.QbD: 의약품의 품질을 미리 계획하고 설계해 최적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기법이다. 이는 GMP(의약품제조품질관리기준)보다 발전된 개념으로 의약품 개발 초기부터 제품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 작성일 2024.11.13 조회수 810 담당부서 미디어소통팀 담당자 이현정 연락처 042-868-2062 최종수정일2023.02.01 만족도평가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5점 만족 4점 보통 3점 불만 2점 매우불만 1점 의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