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전체 1,428건 페이지 5/143
-
한국원자력연구원, 2024년 대한민국 교육기부 대상 수상 - 과학꿈나무 육성을 위한 지속적 교육기부 활동 공로 인정 -- 역대 최다 수상, 올해 정부출연연 중 유일 수상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교육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는 ‘2024년 제13회 대한민국 교육기부 대상’에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14일 밝혔다. ㅇ 연구원은 2013년, 2015년, 2016년, 2020년에 이어 올해 다섯 번째 대상을 수상했다. 이는 교육기부 대상 제정 이후로 역대 최다 기록이다. 2020년에는 당해 기준 지난 5년간 교... - 작성일
- 2024.12.16
- 조회수
- 1,076
-
원자력硏, 원자력 발전 경제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워크숍 개최 - 원자력 유관기관 전문가 120여 명 모여 핵연료·노심 주요 기술 현안 공유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한전원자력연료㈜와 공동으로 “LEU+/HBU/탄력운전 핵연료 및 노심 기술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소형모듈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와 대형원전의 핵연료, 노심 기술 분야의 주요 현안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ㅇ 이번 워크숍은 12일부터 이틀 동안 한국원자력연구원,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원자력안전... - 작성일
- 2024.12.12
- 조회수
- 1,364
-
원자력硏 전은주 박사, GIF 교육훈련워킹그룹 의장 선출 사진. 한국원자력연구원 전은주 박사□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 국제포럼(GIF) 교육훈련워킹그룹(ETWG)’ 신임 의장(Chair)으로 전은주 박사가 선출되어 2025년부터 3년간 활동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ㅇ GIF는 차세대 원자력 연구개발 분야 최대 국제공동연구 협의체로서 2001년 발족해 현재 한국, 미국, 프랑스, 일본, 영국 등 14개국의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 ㅇ 이 협의체에서 다루는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은 현재 가동 중인 원전과 비교해 안전성... - 작성일
- 2024.12.12
- 조회수
- 1,330
-
원자력 특화 거대언어모델 ‘AtomicGPT’ 공개 - 원자력 분야에서 기존 언어모델의 성능을 추월 -- 원자력 연구와 원전제어 지원을 위한 에이전트로 확장 계획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원자력 분야에 특화된 인공지능 거대언어모델 ‘AtomicGPT’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해당 모델은 전세계 언어모델이 공유되는 허깅페이스(Huggingface)에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ㅇ 이번 개발에는 연구원 디지털원자로·AI연구센터 인공지능응용연구실 유용균 실장과 염승돈 UST(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석사과정 학생,... - 작성일
- 2024.12.11
- 조회수
- 2,134
-
인사(人事) - 2024년 12월 11일 자 -< 부장 >△ 정성현 행정부장 △ 이강우 안전방호부장< 팀장 >△ 김아영 시설팀장 △ 이정섭 중대재해관리팀장 - 작성일
- 2024.12.10
- 조회수
- 974
-
입자빔을 활용한 반도체 성능 향상 기술 개발 -원자력연, 상용 반도체 기판에 전하 이동도를 높이는 입자빔 주입 기술 개발--값비싼 소재 변경 없이 성능 향상 가능, 디스플레이 및 태양전지 산업 활용 기대-□ 반도체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다. 반도체 소자에서 전하(charge)가 얼마나 빠르게 퍼져나가는지를 의미하는 전하 이동도 역시 그중에 하나다. 하지만 상용 기판을 사용하는 반도체의 전하 이동도를 높이는 것은 난제로 남아있었다. 그런데 최근 입자빔을 활용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밝혀져 기대를 모은다.사진 1. ... - 작성일
- 2024.12.10
- 조회수
- 1,555
-
원자력硏, 세계 최초 로봇·센서 활용 방사성핵종 분리 장치 개발 -분리 시간, 작업자 노동력, 시료 사용량, 핵종 분석물 손실 최소화 -- 방사성폐기물의 교차오염 없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석 기대 -□ 방사성폐기물 관리 시 안전 처분, 부피 감용 등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방사성핵종 분석을 필수로 진행해야 하는데, 분석은 크게 전처리, 분리, 계측 과정으로 나뉜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신개념 ‘분리’ 장치를 개발해 눈길을 끈다.사진 1.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로봇과 센서를 활용해 신개념 방사성핵종 분리 장치를 개발하고 핵종 분리 실험에 성공했... - 작성일
- 2024.12.03
- 조회수
- 1,481
-
“선생님의 사랑에 보답합니다.” 원자력연, 지역 교원 응원키트「옐로박스」전달 - 유성구 중․고등 선생님 대상 응원물품, 총 2,020박스 지원 -□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추운 겨울 따뜻한 마음을 전하기 위해 지역 교원 응원키트 「옐로박스」 전달식을 27일 대전광역시교육청에서 열었다고 밝혔다. ㅇ 「옐로박스」는 연구원이 기획한 비대면 사회공헌활동 중 하나로, 소방구급대원, 보건 의료진 등 지역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헌신하는 분들을 응원하는 캠페인이다. ㅇ 지난해 유성구 관내 유·초등학교 교원만을 대상으로 한 아쉬움을 해소하고자, 올해는 중·고등학교 교원으로... - 작성일
- 2024.11.28
- 조회수
- 1,016
-
K-해양방사능분석, 국제표준으로 인정받아 -원자력연의 스트론튬-90 신속분석법, 국제표준화기구(ISO) 수질분야 표준으로 승인--해수 중 스트론튬-90 하루면 확인 가능, 국내외 방사능 분석 기관에서 기술 채택-□ 해수 중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인 스트론튬-90은 매우 극미량이며, 화학적 거동이 유사한 물질이 많아 분리 측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몇 해 전 국내 연구진이 분석 절차를 간소화하고 소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기술을 개발해 화제였다. 그런데 최근 그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인정받아 우리나라가 해양방사능분석을 주도한다는 기분... - 작성일
- 2024.11.28
- 조회수
- 1,560
-
KAERI-ETRI, 글로벌 R&D 교류의 장 열다 - 주한 해외대사 초청...『Global R&D Friend’s day』개최 -- 연구현장 공개를 통해 세계에 대한민국 R&D 열정 전파 -□ 국내 최고의 정부출연연구기관 두 곳이 힘을 합쳐 글로벌 R&D 협력을 위한 교류의 장을 마련한다. 양 기관은 행사를 통해 글로벌 최고의 연구현장을 공개하고, 대한민국 연구성과를 세계에 널리 알릴 계획이다.사진 1. 26일 EU 대표부 등 주요국 주한대사 일행이 한국원자력연구원의 SMART-ITL을 둘러볼 예정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과 한... - 작성일
- 2024.11.28
- 조회수
-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