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전체 1,273건 페이지 6/128
-
방사선 기술로 감염병 조기에 잡는다 - 원자력연-IAEA, 인수공통감염병 감시·대응 역량 높이는 국제 교육 실시 -□ 사스, 조류독감, 에볼라, 메르스, 코로나19는 모두 21세기 이후 인류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인수공통감염병이다. 인수공통감염병은 동물이 사람에 옮기는 감염병을 지칭한다. 최근 방사선 기술을 활용해 동물원성 감염병을 감시·대응하기 위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국내에서 열렸다.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처음이다. ㅇ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은 IAEA와 함께 인수공통감... - 작성일
- 2023.02.13
- 조회수
- 1,472
-
원자력연, 경상북도 등과 원자력 선박·해양시스템 기술개발 MOU 체결 - SMR 활용한 선박 및 해양시스템 개발 위해 9개 기관 MOU 체결 --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한 획기적인 방안 기대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은 8개 기관과 원자력 선박·해양시스템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월 9일 경주시청에서 체결했다고 밝혔다. ㅇ 이번 협약에는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 경주시(시장 주낙영),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소장 홍기용), 한국선급(회장 이형철), 에이치라인해운(주)(대표이사 서명득), 에이치엠엠(주)(대표이사 김... - 작성일
- 2023.02.10
- 조회수
- 1,757
-
인사(人事) - 2023년 2월 1일자 -< 부장 >△ 김진필 성과확산부장 △ 김인선 감사부장 <끝> - 작성일
- 2023.02.01
- 조회수
- 1,268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자동정지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은 2월 1일 03시 53분 경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가 자동정지 되어 상세 원인을 파악 중이라고 1일 밝혔다.□ 이번 자동정지는 원자로제어계통※ 동작으로 발생한 것으로, 방사선 안전 관련 영향은 없으며 현재 하나로는 안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원자로제어계통 : 제어봉을 제어하여 원자로 출력 조절 및 원자로를 정지시키는 계통□ 연구원은 원자력안전위원회 조사단과 함께 상세 원인을 파악할 계획이다. 끝. - 작성일
- 2023.02.01
- 조회수
- 1,245
-
인사(人事) - 2023년 2월 1일 자 -< 소장·본부장 >△ 최기용 원자력안전기반연구소장 △ 정영욱 하나로양자과학연구소장△ 이태호 선진원자로연구소장 △ 백종혁 후행원자력기술연구소장△ 임채영 원자력진흥전략본부장< 단장 >△ 김명섭 하나로이용연구단장 △ 강한옥 SMART개발단장△ 김지호 다목적소형연구로개발단장 △ 조동건 사용후핵연료저장처분기술개발단장△ 박성빈 방사성폐기물통합관리단장< 부장·센터장 >△ 최영철 기기안전진단연구부장 △ 김현길 경수로핵연료기술연구부장△ 김동진 재료안전기술연구부장 ... - 작성일
- 2023.01.31
- 조회수
- 1,956
-
첨단 3D 프린팅 기술로 SMR 용기 안전성 높인다 - 원자력연, SMR 압력용기용 금속 분말 소재 개발 성공 -- 실제 압력용기용 소재보다 연성-취성 천이온도 70도 낮춰 안전성 향상 -□ 국내 연구진이 금속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SMR(소형 모듈형 원자로) 압력용기 소재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전망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은 재료안전기술개발부 강석훈 박사 연구진이 3D 프린팅에 활용할 수 있는 SMR 압력용기용 금속 분말 소재를 개발하고, 우수한 성능을 검증하는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류호진 교수팀과... - 작성일
- 2023.01.26
- 조회수
- 1,987
-
3D 프린팅, 손상 부품 복원으로 탄소저감과 비용절감에 앞장서다 - 원자력연, 한국타이어와 함께 ‘산업용 부품 복원용 3D 프린팅 기술’ 개발 -- 원자력 기술을 비 원자력 산업에 적용하는 스핀오프(Spin-off) 성공 -□ 2013년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제조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신기술로 3D 프린팅을 소개했다. 이에 대한 전 세계적인 도전이 시작됐고, 최근 국내 연구진은 산업체에서 사용하는 ‘티타늄 합금 블레이드’(이하 블레이드)의 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사진1. 한국원... - 작성일
- 2023.01.19
- 조회수
- 1,747
-
원자력연, 체렌코프 효과 이용 암세포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 향후 폐암, 간암 등 다양한 암세포 주 이용 전임상시험 추진 -□ 체렌코프 효과는 1958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러시아의 과학자 체렌코프 박사가 발견한 현상으로, 전기적 성질을 가진 입자가 물속을 빛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를 운동할 때 빛이나 X선을 방출하는 효과이다. 원자로 수조가 푸른 빛을 내는 이유이기도 하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 첨단방사선연구소(소장 정병엽)는 방사성동위원소 지르코늄-89(Zr-89)에서 발생하는 체렌코프 효과를 이용해 암 사멸 나노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 작성일
- 2023.01.18
- 조회수
- 2,179
-
원자력연, 지역 소외계층에 지정기탁금 전달 - 2023년도 지역 결식아동,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을 위해 1,920만 원 기탁 -- 지난 12년간 총 2억 2천만 원 이상 기탁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회장 조흥식) 대전지회(지회장 정태희)로부터‘희망 2023 나눔캠페인 목각 열매’를 전달받고 2023년도 지정 기탁금 1,920만 원을 전달했다고 10일 밝혔다. ㅇ 사회복지모금회 정태희 대전지회장은 연구원을 방문해 ‘희망 2023 나눔캠페인 목각 열매’ 참여에 감사를 표하고... - 작성일
- 2023.01.10
- 조회수
- 1,062
-
인사(人事) - 2023년 1월 5일자 -< 부장 >△ 유제용 혁신SMR사업관리부장 △ 정종하 혁신SMR계통개발부장△ 양수형 혁신SMR원자로개발부장 <끝> - 작성일
- 2023.01.05
- 조회수
- 1,547